-
1026 중앙은행의 역할과 기준금리 정리경제기록/팟캐스트 2019. 10. 26. 19:54
중앙은행의 역할 : 통화량 조절을 통한 물가안정
*물가상승률 2% 정도 수준이 안정적이라고 본다.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3가지
1. 공개시장 운영정책 : 기준금리 조정
- 세가지 중 가장 일반적이다.
2. 지급준비율 : 예금 대비 은행이 보유해야하는 정도
3. 재할인 정책 : 일반 기업이 일반 시중은행에 액면할인 매각, 시중은행이 다시 중앙은행에 할인 매각. 중앙은행은 싼값에 상품을 구매하고 그보다 더 많은 현금을 보유할 수 있다.
* 금융통화위원회가 1년에 8회 금리를 결정한다.
교과서적 이론으로 보는 기준금리의 조절
조절 이유 : 통화량 조절을 위해
금리 인상 : 대출이 많고, 통화량이 많고, 인플레이션일 때
금리 인하 : 위와 반대되는 상황으로 경제를 진작시키기 위함.
* 하지만 이는 이론일 뿐. 일본, 미국이 금리를 인하시켜도 경기 불황이 지속되었다. 금리 인하에도 경제가 살아나지 않으면 양적완화 카드를 꺼낼 수 있다. ( 더 많은 돈을 만들어내는 것 )
미국은 대폭적인 금리 인하 및 양적완화를 통해 현재 실업률 최저, 경기가 살아나고있으나 일본은 4년동안 1% 금리 인하 등 빠른 대응 실패로 인해 경기 불황이 지속되고 있다는 견해. 또 미국의 성공 요인은 미국의 통화가 기축통화이기때문. 달러를 찍어내는 만큼 전세계 국가에서 그 달러를 보유하기 때문에.
우리나라도 경제 회복을 위해 금리 인하를 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문가들의 견해. 하지만 금리 인하는 자산 버블로 이어질 수 있으며 더 큰 빈부격자를 야기시킬 수 있음. 우리나라는 미국보다 금리가 낮으면 자금 이탈 우려가 있기 때문에 미국보다 금리가 높아야 된다는 점. 그리고 돈을 많이 풀어 양적완화를 시키면 원화 가치가 떨어진다는 점 때문에 금리 인하 외에 플랜B를 마련해 둬야 한다.
* 팁 : BIS(은행의 자기자본 비율)을 연말에 책정한다고 함...? 따라서 연말에 이율이 좋은 특판이 많이 나온다. 예/적금은 이때 들 것.
* 팁2 : SB톡톡 어플에서 저축은행 예/적금 금리들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경제기록 > 팟캐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부- 페키짱E1-2 (0) 2019.12.04 E4-5 보험회사 직원이 말하는 보험 (0) 2019.12.03 월부)부동산투자 인사이트: 집값은 OO때문에 상승하고 하락한다. (with 김준영 님) (0) 2019.12.02 1025 손에 잡히는 경제 정리 (0) 2019.10.27 190730 이진우의 손에잡히는 경제 (0) 2019.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