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1026 중앙은행의 역할과 기준금리 정리
    경제기록/팟캐스트 2019. 10. 26. 19:54

    중앙은행의 역할 : 통화량 조절을 통한 물가안정

    *물가상승률 2% 정도 수준이 안정적이라고 본다.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3가지

     

    1. 공개시장 운영정책 : 기준금리 조정

      - 세가지 중 가장 일반적이다.

     

    2. 지급준비율 : 예금 대비 은행이 보유해야하는 정도

     

    3. 재할인 정책 : 일반 기업이 일반 시중은행에 액면할인 매각, 시중은행이 다시 중앙은행에 할인 매각. 중앙은행은 싼값에 상품을 구매하고 그보다 더 많은 현금을 보유할 수 있다. 

     

    * 금융통화위원회가 1년에 8회 금리를 결정한다.

     

     

    교과서적 이론으로 보는 기준금리의 조절

    조절 이유 : 통화량 조절을 위해

    금리 인상 : 대출이 많고, 통화량이 많고, 인플레이션일 때

    금리 인하 : 위와 반대되는 상황으로 경제를 진작시키기 위함.

     

     

    * 하지만 이는 이론일 뿐. 일본, 미국이 금리를 인하시켜도 경기 불황이 지속되었다. 금리 인하에도 경제가 살아나지 않으면 양적완화 카드를 꺼낼 수 있다. ( 더 많은 돈을 만들어내는 것 )

     미국은 대폭적인 금리 인하 및 양적완화를 통해 현재 실업률 최저, 경기가 살아나고있으나 일본은 4년동안 1% 금리 인하 등 빠른 대응 실패로 인해 경기 불황이 지속되고 있다는 견해. 또 미국의 성공 요인은 미국의 통화가 기축통화이기때문. 달러를 찍어내는 만큼 전세계 국가에서 그 달러를 보유하기 때문에. 

     우리나라도 경제 회복을 위해 금리 인하를 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문가들의 견해. 하지만 금리 인하는 자산 버블로 이어질 수 있으며 더 큰 빈부격자를 야기시킬 수 있음. 우리나라는 미국보다 금리가 낮으면 자금 이탈 우려가 있기 때문에 미국보다 금리가 높아야 된다는 점. 그리고 돈을 많이 풀어 양적완화를 시키면 원화 가치가 떨어진다는 점 때문에 금리 인하 외에 플랜B를 마련해 둬야 한다.

     

    * 팁 : BIS(은행의 자기자본 비율)을 연말에 책정한다고 함...? 따라서 연말에 이율이 좋은 특판이 많이 나온다. 예/적금은 이때 들 것. 

     

    * 팁2 : SB톡톡 어플에서 저축은행 예/적금 금리들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