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기록/다큐
-
EBS 다큐 자본주의 제5부 국가는 무엇을 해야하는가경제기록/다큐 2019. 11. 20. 22:05
정부냐 시장이냐 100년에 걸친 논쟁. 하이에크:신자유주의 아버지 과도한 정부의 규제가 위기를 초래했다는 것. 너무 많이 투자되고 너무 많이 써서 공황이 왔다고 진단함. 시간이 걸리더라도 시장의 조정 능력을 신뢰해야한다고 주장. 정부가 너무 많이 경제에 개입하면 정부는 점점 커지고 경제를 비능률적으로 만든다. 스태그플레이션 현상이 생김. *스태그플레이션 : 경기불황과 인플레이션이 동시에 오는 현상. 1979년 영국 보수당 집권 (마가렛 대처) 하이에크의 신자유주의에 기반을 둠 1982년 포클랜드 전쟁 승리. 하이에크의 이론을 지속할 수 있었고 경제가 살아남. 큰정부의 문제점 비판. 1979년 미국 2차 오일쇼크. 1981년 레이건 당선. 시장주의자인 밀턴 교수의 이론을 기반으로 해서 레이거노믹스 시행. ..
-
EBS 다큐 자본주의 제4부 세상을 바꾼 위대한 철학들경제기록/다큐 2019. 10. 26. 21:37
아담 스미스 경제학의 창시자, 자본주의의 아버지. 18세기 봉건주의 -> 자본주의. 산업혁명의 도래 국가의 부를 금,은으로 보는 중상주의 사상이 팽배함. 케네 : 인간이 노동을 해서 식량과 원료를 얻고, 상품을 유통해야 사회가 성장한다고 이야기함. 사회는 3개의 계급이 있고, 화폐는 그 세 계급사회를 돌면서 생산물을 공급한다고 믿음. 또 토지만이 부의 원천이라는 중농주의를 주장. 케네의 주장이 아담스미스에 큰 영향을 미침. 국부(국가의 부)는 중농주의의 주장처럼 금,은에 의한것이 아니다. 데이비드 홈 : 머릿속의 구상이 아니라 실제 사물을 보고 현상을 이해해야 한다고 함. 홈의 실증 철학이 아담 스미스에게 큰 영향을 미침. 1776년 3월 국부론 탄생 - 국부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 국부 : 모든 국민..
-
EBS 다큐 자본주의 제3부 금융지능은 있는가 정리경제기록/다큐 2019. 10. 20. 21:50
용어 및 요약 1. 금융지주 회사법 : 은행에서 신용카드 등 판매가 가능하도록 만든 법. 2. 완전 판매 : 가입할 상품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고 상품을 가입하는 것. 3. 불완전 판매 : 완전 판매의 반대. 장단점 등 상품에 대한 이해 없이 가입하는 경우 4. 후순위 채권 : 다른 채권자들에 대한 부채가 청산된 다음에나 상환 받을 수 있는 금융상품 * 예금을 빼서 후순위채권으로 돌리면 부채가 줄어든다. BIS가 높아지므로 자산이 건전하다는 인정을 받는다. 5. BIS : 총 자산중에서 자기자본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기업 의무구조의 건전성을 나타내는 가장 대표적인 지표. * BIS = 기준자기자본/위험가중자산 X 100 * 5% 미만 : 경영개선 권고 * 3% 미만 : 경영개선 요구 * 1..
-
EBS 다큐 자본주의 제2부 소비는 감정이다 정리경제기록/다큐 2019. 10. 13. 22:48
어릴적 소비습관이 성인이 되어서도 계속되고 그 소비습관은 자식에게까지 대물림된다. 아이를 타겟으로 한 마케팅은 아이의 '조르기의 힘'으로 가족의 소비에 영향을 끼치기 위함이다. 생존소비 < 생활소비 < 과소비 < 중독소비 과소비 지수 = (월평균 수입 - 월평균 저축)/ 월평균 수입 0.6 : 적정 소비 0.5 : 절약형 과소비 : '그냥' 혹은 이걸 가지고 있으면 내가 더 멋져보일 것 같다는 이유로 구매하는 것. 소비를 할 때 1. 우울할 때 2. 불안할 때 3. 화가날 때 현금보다 카드로 요금을 낼 때 뇌의 고통이 덜함. 구매 후 신용카드를 다시 돌려받게 되어 뇌가 손실로 여기지 않고, 그만큼 죄책감이 덜해서 자꾸 소비하게 되는 것. 자존감이 낮으면 현실 자아와 이상 자아 간의 차이가 크다. 그 간극..
-
EBS 다큐 자본주의 1부 돈은 빚이다 정리경제기록/다큐 2019. 10. 6. 00:01
부분 지급 준비율 : 은행이 예금 고객에게 줄 돈으로 쌓아 둬야 하는 비율. 뱅크런 : 은행에 돈을 맡긴 사람들이 동시에 돈을 찾는 현상. 은행에 100억이 들어오면 10%인 10억을 지급 준비율로 두고 나머지 90억을 대출해준다. 이 90억을 신용통화라고한다. 이제 총 통화량은 190억. 90억은 지급준비율 10%를 빼고 나머지 90% 81억을 대출할 수 있다... 이렇게 계속해서 돈이 불어나는데, 이 과정을 신용창조라고 한다. 원래 있던 100억을 더해 최대 1000억을 만들 수 있다. 즉, 더 많은 대출이 더 많은 통화를 만든다. 이것이 대출 권하는 사회가 된 이유이다. (지급 준비율이 10%라고 가정했을 때) 인플레이션(통화팽창) : 통화량의 증가로 화폐가치가 하락하고, 물가가 오르는 경제현상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