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07 경제용어 정리경제기록/신문 2019. 10. 7. 22:46
1. 현대硏 "내수·수출부진 이어지면 내년 한국 성장률 2% 미달"
요약
국내외 경기 부진 심화로 내년 경제성장률 2% 달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 미국의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 (PMI)의 하락. 한국 제조업 생산능력지수도 1년 전보다 1.9% 하락.
- 선진국의 부양정책 여력 : GDP 대비 정부 부채 비율 증가 추세.
- 58년생의 국민연금 수령
- 부동산 경기 및 수출여건, 기업 부실 리스크
용어 정리
1. 기준금리
한국은행의 최고 결정기구인 금융통화위원회에서 매달 회의를 통해서 결정하는 금리. 한국은행의 환매조건부 채권 매매, 대기성 여수신 등 금융기관 간 거래의 기준이 되는 금리를 의미한다. 그렇지만 이 기준금리도 운용 목표치에 불과하다.
실제로 자금 시장에서 거래되는 다양한 금리는 기본적으로 자금의 수요자와 공급자에 의해 결정된다. 한국은행이 제시하는 기준금리가 중요한 이유는 한국은행은 채권의 매매나 금융기관의 지급준비율 또는 재할인율 등의 통화정책을 통해 통화량이나 물가, 나아가 금리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한국은행에서 기준금리를 발표하게 되면 시중 은행을 포함한 금융기관들은 이를 기준으로 각자 나름의 금리를 책정하게 된다. 따라서 한은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시중 금리도 상승하게 되고 기준금리를 낮추면 시중 금리도 떨어지게 된다.
2. 시중금리
금융시장의 사정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금리로서 중앙은행 및 정부금용기관 이외의 민간금융기관이 실제로 적용하고 있는 예금금리, 대출금리 및 민간금융기관 상호거래에 의해 형성되는 콜 이율, 할인율 등을 말하며 일반적으로는 시중은행의 대출금리를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3. 국내총생산(GDP)
외국인이든 우리나라 사람이든 국적을 불문하고 우리나라 국경 내에서 이루어진 생산활동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우리나라는 물론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의 생활 수준이나 경제성장률을 분석할 때 사용되는 지표이다.
4. 사회간접자본(SOC)
사회간접자본이 가지는 재화의 두가지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생산 활동을 지원하여 간접적으로 생산력을 높이는 기능을 갖는 자본이다. 생산 활동에 있어서 자본은 직접자본과 간접자본의 형태로 나뉜다. 직접자본은 생산 활동에 직접 투입되는 자본으로서 현금자본, 시설(토지, 건물, 기계 등 고정자본), 원료(유동자본)를 의미한다. 간접자본은 여러가지 생산활동에 간접적으로 기여하는 자본으로서 도로, 철도, 항만, 통신, 전력, 공공서비스 등을 말한다. 기업 측면에서 보면 사회간접자본은 생산 활동에 필요한 자본임에도 불구하고 직접 비용을 지불하지 않아도 되는 자본을 뜻한다. 둘째, 인간의 일상생활에서 기반이 되는 필수불가결한 재화, 즉 공공재로서 공동소비성(비경합성), 비배제성의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사회간접자본은 시장 기구를 통하여 충분히 공급되기를 기대하기가 힘들 뿐 아니라 민간부분에서 공급 및 운영되더라도 공공성을 유지하기 위해 정부의 규제를 직간접적으로 받게 된다.
'경제기록 > 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9 경제용어 정리 (0) 2019.10.09 1008 경제용어 정리 (0) 2019.10.09 1005 경제용어 정리 (0) 2019.10.05 1004 경제용어 정리 (0) 2019.10.04 191003 경제용어 정리 (0) 2019.10.03